누구나 한 번씩은 긴 URL 주소를 단축시키기 위해, 단축 URL 서비스를 사용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. 어딘가에 공유를 해야 하는데 긴 문자열로 구성된 링크가 거슬리거나,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에 포스팅을 할 때에도 글자 수를 줄이고 심플한 형태로 보여지기 위해 많은 분들이 단축 URL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데요. 저 역시도, 꽤 자주 단축 URL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그러던 어느 날 문득, 궁금해졌습니다. "단축 URL 서비스들은 도대체 어떻게 돈을 버는 걸까?" 라고 말이죠. 분명 기존의 URL을 대체하여 연결해주는 리다이렉트(Redirect)가 필요하기에, 해당 도메인을 거쳐가는 서버 트래픽 비용부터 시작해서 한 번 생성된 단축 URL을 계속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 도메인 유지비까지, 그 많은 비용을 감당하면서 이렇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까,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그래서, 순전히 개인적인 호기심으로 단축 URL 서비스들이 어떻게 돈을 버는 지 살펴봤습니다. # 단축 URL 서비스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? 우선,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방문하고 단축 URL을 만들고 있는 서비스는 'Bitly.com' 입니다. 2008년에 서비스를 시작해 내년이면 어느 덧 10년이 된 서비스인데요. 매달 3억개의 단축 URL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350억개의 bitly.com 단축 URL이 생성되었습니다. 또한 매달 100억 번의 bitly 도메인 클릭이 일어나고 있습니다. 이런 수치들 덕분에, 2017년 7월에는, 성장성과 비즈니스 잠재력을 인정받아 $63 Million, 한화로 630억이라는 거금의 투자금을 유치하기도 했습니다. ▲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단축 URL 서비스 'Bitly' ▲ Bitly 소개 영상 (출처 : bitly) 글로벌 1위를 달리고 있는 Bitly.com과 함께 단축 URL 서비스의 양대산맥으로 불리는 곳이 바로 'Google URL Shortner'입니다. 구글은 goo.gl 도메인의 단축 URL을 기존부터